전화 문의 안내

  • 053-959-9001

제목

“위 속 균이 치매까지…” 헬리코박터균 제균치료 중요성 커져

한국인의 절반 이상이 감염된 것으로 추정되는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이하 헬리코박터)'. 대부분의 한국인이 이 균을 가지고 있지만, 감염이 돼도 별다른 증세가 없기에 모르는 채 지내곤 한다. 문제는 무증상 뒤에 숨어 암을 일으킨다는 점이다. 헬리코박터균은 위암의 주요 원인으로, 헬리코박터균 감염 환자는 위암에 걸릴 위험이 3~6배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더해 최근 헬리코박터균 감염의 위험성을 다시 한번 강조하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헬리코박터균이 치매 위험과도 연관되어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온 것.

헬리코박터 위궤양 환자는 치매 위험이 3배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출처: 게티이미지뱅크

헬리코박터 위궤양 환자, 치매 위험 높아가톨릭의대 서울성모병원 정신의학과 강동우 교수, 여의도성모병원 뇌건강센터 임현국 교수 연구팀은 국민건강보험공단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해 55~79세 47,628명의 참가자를 대상으로, 헬리코박터 제균 치료 여부에 따른 치매 발병 위험도를 연령 분포별로 평가했다.그 결과, 소화성 궤양 환자는 건강대조군과 비교하여 5년 및 10년 추적관찰에서 전반적인 치매 발병 위험도가 약 3배 높아진 것으로 확인됐다. 이는 고혈압, 당뇨, 허혈성 심질환, 고지혈증과 같은 치매 위험인자를 통제한 후 얻은 결과다. 또한 연령별 세부 분석 결과 60대와 70대의 연령 분포에서 특히 알츠하이머 병으로 인한 치매의 발병 위험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됐다.헬리코박터균은 혈관뇌장벽을 통과하여 뇌내신경염증을 유발하고, 알츠하이머병의 주요 병리인 아밀로이드베타 단백질과 타우 단백질의 침착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보고돼 있다. 또한 헬리코박터 감염 소화성 궤양은 신경세포 재생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영양소의 흡수를 방해하고, 장내균총(microbiome)에 변화를 일으켜 치매 발병 위험을 높일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연구팀은 헬리코박터균 제균치료가 위암 발병 위험을 낮춘다는 기존 연구결과에 주목하여, 제균치료 시기와 치매 위험도를 평가했다. 위궤양 진단 이후 6개월 이내에 제균치료를 시작한 조기 제균치료군과 1년 이후에 제균치료를 시작한 지연 치료군을 추적 관찰한 결과, 제균 치료가 지연된 군은 적시에 제균치료를 시작한 군과 비교하여 치매 발병 위험도가 2배 이상 높아지는 것을 확인했다.이번 연구 결과에 대해 강동우 교수는 “헬리코박터균 감염이 신경퇴행성 질환과 연관되어 있음을 제시했으며,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라며 이어 “최근 진단 기술의 발전으로 감염 여부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는 만큼, 뇌 건강을 위해 조기 진단과 빠른 치료가 필요하다”라고 조언했다.임현국 교수는 “위장관 건강과 신경 건강의 상호작용의 이해를 통해 치매 예방과 치료 전략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이번 연구 결과는 미국노화학회 공식 학술지인 ‘게로사이언스(geroscience)’ 최근호에 게재됐다.헬리코박터균 치료, 꾸준함이 생명헬리코박터균 감염의 위험이 속속들이 밝혀지고 있는 만큼, 헬리코박터균 감염이 확인되면 치료하길 권장한다. 특히 위궤양 환자, 조기 위암 환자, 변연부 b세포 림프종 환자, 합병증을 동반한 십이지장 궤양 환자는 꼭 제균 치료를 받아야 한다.헬리코박터균 제균 치료의 핵심은 꾸준함이다. 헬리코박터균 제거를 위해서는 궤양을 치료하는 약제와 항생제를 1~2주 정도 복용해야 한다. 이때 병원에서 처방받은 용량과 용법을 철저히, 꾸준히 지키는 것이 중요하다. 약을 빼먹고 복용하지 않으면 제균 치료에 실패할 확률이 높고, 실패할수록 약 개수 역시 늘어나기 때문. 치료 후에는 세균이 완전히 제거되었는지 확인하는 과정을 거쳐야 하며, 만약 실패했다면 2차, 3차 치료를 고려해야 한다.약물을 정확히 복용하면서 생활습관에도 유의하면 좋다. 양배추, 브로콜리, 사과 등 위장 건강에 좋은 음식을 섭취하며 담배, 술, 과식 등 해로운 습관은 피하길 권한다. 치료가 완료될 때까지 다른 사람과 같은 숟가락을 사용하거나 한 그릇에 든 음식을 같이 먹는 것은 삼가야 한다.